MTT assay

MTT assay

-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란 시약을 통해 세포의 cell viability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시약은 빛에 약해 dark condition에서 보관하여야 하며, assay를 진행할 때에도 dark condition에서 진행한다. MTT reagent는 노란색을 띄고 있으나 살아있는 세포와 만나게 되면,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탈수소효소에 의해 tetrazolium의 ring 구조가 끊어지면서 청자색을 띠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 결정으로 환원된다. 이후 유기용매인 DMSO를 이용해 formazan을 녹여 흡광도 측정을 통해 상대적인 cell viability를 측정할 수 있다.

 

1. Cell은 96well plate에 seeding 되어 있으며, 90ul의 volume으로 seeding 되어 있다.

2. cell에 MTT reagent를 final concentration이 0.5mg/ml이 되게끔 넣어준다.

(5mg/ml MTT reagent 10ul를 넣어주면 0.5mg/ml이 된다.)

3. 37℃·2-4hr incubation 한다.

4. Suction기를 이용하여 media를 제거한다. (formazan이 딸려오지 않게끔 조심한다.)

5. DMSO 60ul로 formazan을 용해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 MTT assay가 용이하고 값싼 장점이 있지만 suspension cell의 viability를 측정에는 용이하지 않다.

* MTT assay외에 WTS, MTS assay등이 존재하지만 개인적으로 CCK8 assay가 가장 편리했다.

'Biology > protoc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fection  (0) 2021.01.18
Virus infection  (0) 2021.01.11
Lentivirus production  (0) 2021.01.11
Midi-prep  (0) 2021.01.11
Single colony isolation  (0) 2021.01.08